상세페이지 카피가 너무 혼잡해보여요.. 근데..

상세페이지 카피가 너무 혼잡해보여요.. 근데..

상세페이지 카피를 봐달라는 문의가 올때가 있는데요.

오늘도 역시 그런 문의를 받아서 얘기를 드렸습니다.

카피가 굉장히 길고 너무 혼잡해보인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More...

그래서 구매로 전환되는 비율을 물어봤는데요.

8%정도 된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그래서 답변을 드렸습니다.

아~ 그러면 카피를 굳이 바꾸지 않아도 된다구요.

이미 그정도 전환율이면 최적화가 된것이기 때문에 폭발적으로 노출을 늘리거나 신규 상품 런칭(지금 현재 상품을 구매한 사람들이 또 구매하고 싶어하는 연관된 상품)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얘기해드렸습니다.

많은 분들이 3%~10%정도의 전환율을 갖췄을때는 오히려 카피에 신경을 쓰지 않는게 좋습니다.

물론 가격에 따라 최적화된 전환율의 기준은 좀 다르겠지만 어쨋든 평균적으로 이정도 숫자라면 최적화가 어느정도 된것이라서 이 타이밍에는 노출을 폭발적으로 늘리는게 좋습니다.

이 타이밍에 카피에만 계속 신경을 쓰게 되면 전환율만 3%였다가 4%였다가 5%였다가 다시 3%였다가 계속 요동을 칩니다.

물론 예외적으로 큰 기업의 경우 0.1%의 전환율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 외에 1인 기업이거나 소규모의 업체들의 경우는 전환율이 4.5%인게 4.7%가 된다고 큰 의미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매출이 증가하더라도 4.5%에서 4.7%로 늘리기 위해 투자하는 시간과 노력, 비용은 0.2%가 아닐겁니다.

카피에 굉장한 관심을 갖고 우선순위를 높여서 이것저것 뜯어고치는 시간을 거쳐야만 0.2%가 올라가기도 하고 1%가 올라가기도 하고, 오히려 다시 전환율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그래서 효율성으로 봤을때는 관련된 신규 상품을 런칭하거나 노출을 폭발적으로 늘리는 것이 더 효율적인 타이밍입니다.